食品과 藥草

고수풀의 효능

예수에의해사는자 2016. 2. 16. 14:38

이 글의 내용이 틀릴 수 도 있음을 참고하시고, 이 약초(식품)의 효능은 미미하나 부작용은 매우 크니 반드시 전문 한의사와 상담 후 복용해야 합니다.



전립선염에 좋은 약초, 고수풀

고수풀은 미나리과에 딸린 한해살이풀이다. 전초에 털이 없다. 키는 40∼60센티미터쯤 자라며 생김새는 미나리를 닮았으나 미나리보다는 잎이 더 잘고 가느다랗게 찢어져 있다. 여름철에 흰색 또는 분홍색 꽃이 피고 진 뒤에 쌀알보다 큰 지름 3∼5밀리미터쯤의 열매가 달린다. 처음에는 녹색이다가 차츰 황갈색으로 익는다. 열매 속에 씨가 2개 맞붙어 있는데 단단하여 잘 깨어지지 않는다. 우리 나라에서는 중국 음식 재료로 드물게 가꾼다.


중국에서는 향채(香菜)라 하여 거의 모든 음식에 넣어 먹는다. 인도, 태국 같은 데서도 카레나 수프에 향신료로 널리 쓰고 있다. 잎이 푸를 때는 빈대 냄새가 나지만, 황갈색으로 익은 열매에서는 달콤하고 매혹적인 향기가 난다. 중국에서는 이 씨앗을 먹으면 불로불사한다는 말이 있다.

고수를 서양에서는 코리안더(Coriander)라고 부른다. 이 이름은 빈대를 뜻하는 그리스어의 코리스(Koris)와 좋은 향기가 나는 식물 이름인 아니스(anise)를 합친 것으로 잎이나 열매가 어릴 때에는 빈대 냄새가 나지만 익으면 아니스 같은 좋은 향기가 난다는 뜻이다.

고수는 고대 그리스나 로마에서도 가장 널리 쓰인 약초의 하나였다. 히포크라테스도 고수의 씨가 복통이나 현기증 등을 낫게하는 데 좋다고 했다.

고수씨는 탄수화물을 소화하는 효과가 뛰어나므로 고대 로마 때부터 빵이나 과자를 구울 때 함께 넣었다. 고수는 세계에서 가장 흔히 쓰는 향신료의 하나이다.



(고수풀의 약효)

고수풀 뿌리와 잎은 기미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약간의 독이 있다. 생채로 먹거나 김치를 담가 먹는다.

소화를 잘되게 하고 오장을 편하게 한다. 빈혈을 고치고 대 .소장을 이롭게 한다. 배의 기를 통하게 하고 사지의 열을 없애며 두통을 치료한다. 씨는 벌레 독, 치질, 고기 중독, 토혈, 하혈 등에 즙을 끓여 차게 먹는다. 또 기름을 짜서 달여 어린이의 두창에 바르면 효과가 있다. 많이 먹으면 건망증이 생긴다.

고수풀은 전립선염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곧 고수풀과 더덕을 1:1의 비율로 하여 진하게 달여서 마시면 여간해서는 잘 낫지 않는 전립선염이 완화 내지는 낫는다. 3개월 넘게 꾸준히 복용하면 대부분 효과를본다. 전립선은 현대의약으로도 치유가 힘들며 재발한다

건위작용, 소화작용, 담즙분비작용, 항진균작용, 강장작용, 진해, 구풍, 복통, 현기증, 육류및 생선 냄새 제거, 식중독, 홍격내공, 두창, 치질, 두통, 치통, 설사, 소화불량, 병후회복, 식욕부진, 전립선염, 향신료 및 향미료에 좋다.


(부작용)

열탕에 데처서 사용하며 많이 먹으면 눈이 충혈되기 때문에 매일 먹지 않는다. 많이 먹으면 건망증이 생긴다.


고수풀의 씨앗은 8~9월에 열매가 성숙할 때에 과실이 달린 가지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과실을 털고 불순물을 제거하고 다시 충분히 햇볕에 말린다. 과실은 단단하고 향기가 좋으며 손으로 비벼 부수면 독특하고 짙은 향기가 나고 맛은 약간 맵다. 고수풀 씨앗의 맛은 맵고 시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투진(透疹)하고 위를 튼튼하게 한다. 땀을 내며 꽃을 잘 돋게 하고 먹은 것을 잘 삭인다.

발진(發疹)하지 않는 천연두(天然痘), 음식핍미(飮食乏味), 이질(痢疾), 치질 등을 치료한다. 하루 8~15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시 달인물로 입안을 가시거나 달여서 약 기운을 쏘인다.


고수풀의 다른 이름은 호유(胡荽: 식료본초), 향유(香荽: 운략), 향유(香荽: 본초습유), 호채(胡菜: 외대), 원유(蒝荽: 당소설), 원유(園荽: 동헌필록), 원유(芫荽, 호수:胡 : 일용본초), 완유(莞荽: 보제방), 연수채(莚荽菜: 연갈초:莚葛草, 만천성:滿天星: 호남약물지), 원수(芫荽: 중국 본초도감 및 본초도록), 고수풀, 코리안더(Coriander), 차이니스파슬리 등으로 부른다. 원산지는 지중해연안 및 시리아로서 각지에서 재배한다. 열매인 호유자(胡荽子)도 약용한다.


고수의 채취는 봄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고 약간 독이 있다. 일설에서는 약간 차다고도 한다. 폐, 비경에 작용한다. 발한(發汗)하고 마진(홍역)이 돋게 하며 소화를 촉진시키고 기가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을 내리는 효능이 있다. 홍진(紅疹)으로 발진(發疹)하지 않는 증상, 음식물 적체를 치료한다. 하루 12~20그램 신선한 것은 40~8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짓찧어 즙을 복용한다. 외용시 달여서 환부에 약기운을 쏘이고 씻거나 짓찧어 바른다. 주의사항으로 사진(痧疹)이 이미 발진하였거나 아직 발진하지 않아서 열독옹체(熱毒壅滯)되고 풍한외속(風寒外束)이 아닌 자는 복용하면 안 된다.


1, <천금, 식치> "장기간 복용하면 건망증이 심해진다. 화타가 말하기를 액취, 구취, 충치가 있는 자에게는 더욱 나쁘다. 이것을 먹으면 지병(持病)을 유발하며 특히 금창(金瘡)이 있는 자는 복용하여서는 안된다."

2, <식료본초> "냉증인 자가 먹으면 발이 약해지고 또한 사호(斜蒿)와 함께 먹어서는 안 된다. 이것을 먹으면 땀 냄새가 심해지며 치료가 어려워진다. 이것은 훈수(葷荽)로서 정신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장기간 복용하면 안 된다. 뿌리는 지병(持病)을 야기한다."

3, <본초강목> "모든 보약이나 약 가운데서 백출(白朮), 모단(牡丹)이 들어 있는 것을 복용하는 환자는 복용하면 안된다."

4, <신농본초경소> "기허(氣虛)인 사람은 복용하면 안 된다. 천연두로 좀처럼 발진하지 않는 경우나 풍한의 사가 외표를 침입하지 않은 경우, 예오(穢惡)의 냄새가 나는 환자는 쓰지 말아야 한다."

5, <의림찬요> "많이 먹으면 눈이 어두워지고 기를 소모한다."


(퍼온 글)

덧글

지금 어려운 중에 있습니까, 지금 고통 중에 있습니까? 삶이 힘들고 지칠 때 하나님을 찾으십시오.

저도 고난 중에 늘 그렇게 하며 살고 있습니다.

너희는 나를 찾으라 그리하면 살리라(아모스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