食品과 藥草

백하수오의 효능과 부작용,백하수오와 이엽우피소의 차이,백하수오 구입

예수에의해사는자 2016. 2. 12. 10:14

이 글의 내용이 틀릴 수 도 있음을 참고하시고, 이 약초(식품)의 효능은 미미하나 부작용은 매우 크니 반드시 전문 한의사와 상담 후 복용해야 합니다.

백하수오로 둔갑한 이엽우피소, 즉 가짜 백하수오 문제로 건강기능식품을 구입하는 가정의 건강을 위해

백하수오와 이엽우피소의 구별에 대해 알아 본다. 문제의 이엽우피소는 독성이 있으며 우라나라 전국 양지바른 곳에 자생한다. 경북지방에서 재배하며 야산으로 퍼지고 있는 상태이다.


1. 백하수오(백수오)

잎의 단면이 매끄럽고, 잎을 찢으면 흰 진액이 나온다

육안으로 보면 뿌리 절단단면에 무늬가 있다

뿌리를 절단해도 흰 진액이 안나오고 절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할때 유즙관이 없고 중앙유관속이 3~4각으로 팽대한 각을 이루고 표피세포층이 10층이상이다.                                              (3번)

(백하수오의 잎과 절단면)3번같은 무늬도 있으며 오래된 백하수오는 절단면무늬가 희미하며 거의 없는것도 있다한다  


2. 이엽우피소

잎의 단면이 매끄럽지 않고, 잎을 찢으면 흰 진액이 나오지 않는다

육안으로 봐도 뿌리 절단단면에 무늬가 없다

절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유관즙이 있고 중앙유관속이 4~5개로 분리되 흩어져 보이며 표피세포층이 5~7층이다

뿌리를 절단하거난 거피중 상처를 내면 흰 진액이 나온다.

그러나 나이가 많이 먹은 이엽우피소는 백하수오 처럼 무늬가 있는 것도 있으며 진액이 안나오는 것도 있다.

만약 무늬가 있어도 진액이 나온다면 그건 100% 이엽우피소이다.

또한 이엽우피소는 담금하면 술의 색상이 하수오 처럼 진하게 우러 나오지 않는다고 하지만 하수오와 같이 노랗게 우러 나오는 경우도 있다.

                                                (이엽우피소의 잎과 절단면)


3. 야생 백하수오 채취 약초꾼의 비교 설명

● 야생백수오의 싹대줄기 색깔은 하얀바탕에 검은얼룩이 있는것과 이와는 달리 하얀색만을 띄는것이 있기도 하는등 다양한 것들을 볼수 있는데 이엽우피소 싹대줄기의 색깔이나 모양 역시 우리가 흔히 보아왔던 백수오 싹대줄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질긴정도 역시 백수오처럼 쉽게 끊어지지 않고 질기다.

● 뇌두의 모양과 싹대줄기가 뇌두에서 발달한 것 역시 백수오와는 외관상 큰 차이를

느낄수 없고 다만 뇌두에서 가까운 싹대줄기부의 마디 간격이 백수오의 마디간격과는 달리 눈에 띄게 짧은 특징이 있는데 이것이 이엽우피소의 일반적 특징인지는 좀더 확인을 해 보아야 한다.

● 야생 이엽우피소 지하뿌리 전체부 모습이나 곁가지 덩이가 백수오라고 착각할 정도로 흡사한 경우도 있다. 일부에서 이엽우피소 지하경 덩이는 일자형 특징을 가진다고 장담하는데 이는 아마도 토질이 좋은 밭에서 재배하는 품종의 뿌리특징을 말한 것이고 척박한 토양에서 생명을 지켜온 야생 이엽우피소는 백수오와 너무나 비슷하다.

이엽우피소의 지하경의 덩이뿌리를 덮고 있는 껍질 두께는 동일한 크기의 백수오와 달리 매우 얇고 거피하기도 아주 수월하다. 껍질의 빛깔은 백수오에 비해 연한 느낌이 들었지만 백수오 역시 토양상태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빛깔을 백수오와 이엽우피소의 구분기준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생각이다.

● 채취한지 36시간 정도 경과한 이엽우피소의 지하경 덩이뿌리의 껍질을 벗기기 시작하면 눈꼽만한 하얀진액이 두세군데서 발생되며 거피를 완전히 끝낼때까지 더이상 발생 되지않아 하얀진액은 건조가 진행될수록 급격히 줄어든다.

거피를 마친 덩이뿌리를 별도의 세척작업을 하거나 닦지 않아도 하얀 진액의 흔적을 찾아보기 어려울만큼 깔끔하다.

● 이엽우피소 덩이뿌리 단면을 보기위해 절단해보니 색상은 백수오와 별반 다르지 않은 유백색이며 가장자리 부분으로는 백수오처럼 방사형 무늬가 있고 그사이로 하얀 진액을 생산하는 유즙관이 보인다. 맛과 향도 백수오와 큰 차이를 느낄 수 없을만큼 비슷하다.

● 새싹 

                   (백하수오의 새싹)                                          (이엽우피소의 새싹)


● 잎

백하수오 - 잎맥부분이 매끈하고 하얗다

이엽우피소 - 잎맥부분이 울퉁불퉁한 형상이다.


● 꽃 

                       (백하수오의 꽃)                                              (이엽우피소의 꽃)


● 씨방

이엽우피소의 한 줄기에 붙어있는 씨방의 갯수가 백하수오보다 훨신 많다.

특히 3~4쌍으로 붙어있는 경우가 많다.

모양은 새부리처럼 맵씨가 날씬하며 매끈하다. 색깔은 흑색,백색,회색,얼룩점등 다양하다.

모양은 백수오와 차이점을 못 느낀다.

내가 목격한것은 백색계통이었으나 다른분들의경우 흑색도 관찰되는등 다양하다.

씨방안쪽에도 백수오와 마찬가지로 격막이 없다.


● 줄기진액  

백하수오나 이엽우피소의 줄기 절단면에서 하얀진액이 둘다 나온다.

그러나 일부 관찰자들이 이엽우피소에서는 안나오는것도 있다고 한다.


● 덩이진액

백수오는 거피를 해보면 오래 묵은 것이던 어린것이던 하얀 진액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덩이구조를 확인하기위해 단면절단을 해보아도 하얀 진액을 생산하는 유즙관이 발견되지 않는다. 이엽우피소는 거피하면서 상처를 내면 하얀 진액이 나오거나 절단하면 하얀 진액이 나온다. 그러나 36시간 정도 지난 후에는 거피중 두세군데 눈꼽만큼 약간의 하얀 진액이 나오며 완전 거피후에도 별도의 세척없이 깨끗함을 볼수 있다.


 이상 야생백수오와 이엽우피소는 몇가지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잎과 줄기가 무성한 여름에는 쉽게 구분을 할수 있겠지만 낙엽이 진 상태에서 싹대줄기와 씨방만 가지고서는 백수오와 이엽우피소를 구분하는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야생 이엽우피소의 경우 뿌리 모양으로는 개미허리와 덩이줄기가 울룩 불룩하게 발달하는것까지 백수오와 흡사한 경우가 많음을 볼때 이엽우피소의 지하경은 대부분 일자형이다 라고 단정해서도 안된다.


4. 건조한 백하수오와 이엽우피소의 차이

건조한 백하수오는 쪼글쪼글 하며 가로줄 무늬에 세로줄 무늬도 발견된다. 씹어보면 카라멜처럼 무른편으로 느껴지며 한약재 특유의 향과 맛이 있다. 그러나 건조한 이엽우피소는 생김새가 매끈한 편이고 가로줄 무늬만 있고 세로줄 무늬는 거의 없다. 씹으면 사탕처럼 엄청 딱딱하고 한약재 특유의 향과 맛이 없다.

                (백하수오의 건재 모습)                                                            (이엽우피소의 건재 모습)


5. 식약처의 구별

약재의 절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표피세포층이 10층 이상이며 유즙관이 없고 중앙유관속이 3~4각으로 팽대한각을 이루면 한약재 백수오이다. 그러나 유즙관이 있고 표피세포층이 5~7층으로 얇고 중앙유관속이 4~5개로 분리돼 흩어져 보이면 위품 이엽우피소의 뿌리이다.


6. 결론(백하수오의 구입시기)

윗글을 통해 자연산 백하수오와 이엽우피소의 차이가 명백한 것은 잎의 모습이다. 따라서 잎이 있어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봄에서 여름에만(잎이 있을때에) 구별가능하며 잎이 노랗게 물들며 낙엽이 진 가을부터는 정확히 구별 할 수 없다 하겠다. 그러므로 자연산 백하수오를 구입하고자 하는 사람은 잎이 붙어 있는 봄여름에 (캔것을) 구입해야 하며 그 이후에는 믿을 수 있는 백하수오 재배농장에 가서 재배산을 구입하는것이 좋다 하겠다. 구입할 경우에도 가능한한 잎이 붙어있는째로 구입하고 잎없이 뿌리만 구입한 경우에는 뿌리를 잘라 무늬가 있는지, 흰진액이 나오는지만이라도 반드시 확인하여 이엽우피소를 구입하게 되는 일은  피해야 한다. 


▣백하수오의 부작용이 매우 크니 반드시 한의사와 상담후 복용해야 합니다.

백하수오의 효능

성질은 평하고 따뜻하며 맛은 쓰고 떫고(달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동의보감).

효능으로는 흰머리를 검게 하고, 발모 및 자양강장, 노화방지, 동맥경화 예방, 신장 및 간 기능 강화, 혈 보충, 근골의 강화 등이 있으며 변비, 빈혈, 고혈압, 동맥경화, 신경통, 고지혈증, 생리불순, 신경쇠약, 불면증 등에도 효과가 있다.

 

○ 백하수오 부작용

백하수오는 부작용(독성)이 있으니 반드시 법제를 하여 사용해야 한다.

법제를 안하고 복용하면 간장과 신장이 나빠지게 된다.

또한 백하수오는 성질이 따뜻해 몸이 차고 기력이 약한 소음인에게 좋은 약재이지만 몸을 데워주는 효과가 있어 몸에 열이 많거나 식욕이 너무 좋고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 맥이 빠른 사람은 피하는게 좋고, 소양인 또는 태음인 체질인 시람이 복용할 경우에는 두통, 어지러움, 설사, 가슴두근거림, 생리이상현상 등 부작용이 발생한다. 저도 태음인인데 한번 복용했다가 하루종일 두통으로 혼났음.

 

○ 백하수오 법제

나무칼로 깨끗이 껍질을 벗긴 후 넓게 썰어서 하루 정도 쌀뜨물이나 쥐눈이 콩 삶은 물에 담가 정유성분을 빼내고 깨끗이 씻어 1회이상 증기에 쪄서 말려 사용한다.


(퍼온 글도 있음)

덧글

지금 어려운 중에 있습니까, 지금 고통 중에 있습니까? 삶이 힘들고 지칠 때 하나님을 찾으십시오.

저도 고난 중에 늘 그렇게 하며 살고 있습니다.

너희는 나를 찾으라 그리하면 살리라(아모스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