其他

성희롱,성추행,성폭행,성매매로 인한 에이즈, 동성애와 에이즈, 친척간의 호칭

예수에의해사는자 2017. 11. 24. 11:14

성과 관련된 일반적인 범죄를 알아 본다.

성희롱은 성적인 수치심이 들게 하는 것이고, 성추행은 거기에 신체적인 접촉까지 있는 것이다.

성추행은 신체적으로 성적 수치심과 불쾌감을 받게 만드는 것이고, 성폭행은 실제로 강간하거나 강간을 시도한 것이다.

성폭행은 물리적인 폭력행사와 함께 성관계를 목적으로 한 것이고, 성폭력은 물리적이든 아니든 성적인 가해행위만 된다면 모두 성폭력이다.

성폭력은 성폭행과 성추행, 성희롱을 모두 포함한 전체적인 개념이고 이 중이 성폭행과 성추행은 물리적인 힘이 동원되는 경우이며 성희롱은 신체적인 접촉이 전혀 없는 말이나 행동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이 중에서 성희롱, 성폭행, 성추행, 성폭력의 법적인 차이점은, 성희롱은 형사소송법에 해당되지 않으며

성추행과 성폭행만 형법에 해당된다. 성희롱은 신체적, 물리적 폭력 행위에 관련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성희롱은 노동법, 모욕죄 등의 각각의 관련법에 의해서 대항하게 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이 농담으로 여기는 것일지라도 상대방에게는 성폭력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고 성폭력이 되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에이즈 환자(후천성면역결핍증)가 4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우리나라 16개 각 시도에 2000명 이상의 에이즈 환자가 있다는 셈이다.

실제는 이보다 훨씬 더 많다는 말이 있으니 염려가 된다.

에이즈 환자에 대한 정확한 통계 및 인적파악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에이즈 환자와 접촉하는 것이 자칫 불안전 할 수 도 있다.

더욱이 요즘 성적으로 개방되다 보니 더욱 불안하고 염려된다.

통상적으로 성관계시 콘돔을 사용하면 예방할 수 있다고 하나 이것 역시 확실하지 않다.

콘돔을 사용하고도 에이즈에 감염된 사람이 20~30%로 적지 않기 때문이다.

매일 비뇨기과나 보건소에 에이즈 감염검사를 하는 사람들이 꾸준히 있다고 한다.

오늘날 에이즈는 동성애로 인한 1차, 2차 감염이 가장 많다고 한다.

세계적으로 동성애, 수간(짐승과 간음), 시간(시체와 간음) 등 징그러운 일들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에이즈 증상의 초기증상이 약해 무시한다는 점 또는 초기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점,

잠복기가 5년~10년이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 주변에 자기가 에이즈 감염된 사실을 모르고 사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퇴폐업소, 마사지업소에 종사자들 중 에이즈바이러스 보균자가 있을 수 있다.

룸싸롱에도 종사하는 아가씨들 중 에이즈바이러스 보균자가 있을 수 있다.

노래방에도 종사하는 도우미들 중 에이즈바이러스 보균자가 있을 수 있다.

창녀, 남창들 중에 에이즈바이러스 보균자가 있을 수 있다.

채팅 엡을 통한 만남을 하지 말아야 한다. 만나는 사람이 에이즈바이러스 보균자가 있을 수 있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에이즈 환자와 함께 식사, 운동 등도 할 수도 있다.

모텔이나 여관 등에서 동성애자들이 샤워기 줄기 부분을 항문에 넣고 관장을 한후에 항문성교를 한다 하니 샤워기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동성애는 그 원인이 선천적이 아닌 후천적임에 유의하고 특히 인터넷을 통한 만남을 경계해야 한다.


이제 에이즈 환자를 한센병 환자처럼 섬으로 격리시키는 것을 고려해야할 당위성이 커지고 있다.

에이즈 환자의 인권도 고려해야 하지만 대다수 국민이 마음 편하게 살수 있어야 한다.

절대 간음하지 말라.

간음 상대가 에이즈바이러스 보균자일 수 있다.

실로 무서운 일이다.


모든 사람은 혼인을 귀히 여기고 침소를 더럽히지 않게 하라. 음행하는 자들과 간음하는 자들을 하나님이 심판하시리라(히브리서 13:4)

--------------------------------------------------------------------------

친척간의 호칭


호칭

특별호칭

관계


아버지

어머니

부친(父親) 가친(家親)

모친(母親) 자친(慈親)

나를 낳아주신 분

나를 길러주신 분

할아버지

할머니

조부(祖父)

조모(祖母)

아버지의 아버지

아버지의 어머니

증조 할아버지

증조 할머니

증조부(曾祖父) 한 할아버지

증조모(曾祖母) 한 할머니

할아버지의 아버지

할아버지의 어머니

고조 할아버지

고조 할머니

고조부(高祖父) 높은 할아버지

고조모(高祖母) 높은 할머니

증조할아버지의 아버지

증조할아버지의 어머니

남편

아내

부(夫) 가장(家丈)

처(妻) 내자(內子)

지애비, 아비

지어미, 자기 부인

아들

며느리

가아(家兒) 돈아(豚兒)

자부(子婦)

내가 낳은 사내아이

아들의 아내

사위

여식(女息)

서랑(胥郞)

내가 낳은 여자아이

딸의 남편

형수

장형(長兄) 사백(舍伯) 사중(舍仲)

큰 형수(長兄嫂)

손위형제

형의 부인

아우

제수

사제(舍弟) 동생

제수(弟嫂)

손아래 동생

아우의 아내

누이

자형

가매(家妹) 언니

자형(姉兄) 매형(妹兄)

손위 남매

누이의 남편

누이동생

매제

매(妹) 가매(家妹)

매부(妹夫) 매제(妹弟)

손아래 자매

누이동생의 남편

큰 아버지

큰 어머니

백부(伯父) 중백부(仲伯父)

백모(伯母) 중백모(仲伯母)

아버지의 큰형

아버지의 형수

작은 아버지

작은 어머니

숙부(叔父) 계부(季父) 삼촌(三寸)

숙모(叔母)

아버지의 동생

아버지의 제수

당숙

당숙모

당숙(堂叔) 종숙(從叔)

당숙모(堂叔母) 종숙모(從叔母)

아버지의 사촌형제

아버지 사촌의 부인

재당숙

재당숙모

재당숙(再堂叔) 재종숙(再從叔)

재당숙모 재종숙모

아버지의 육촌의 형제

아버지 육촌의 부인

종조부

종조모

종조부(從祖父)

종조모(從祖母)

할아버지의 형제

할아버지의 형수, 제수

종형제

종수

사촌형제(四寸兄弟)

사촌형수, 제수

아버지의 조카

아버지의 조카며느리

재종형제

재종수

육촌형제(六寸兄弟)

육촌형수, 제수

당숙의 아들

당숙의 며느리

조카

조카며느리

질(姪) 조카딸(조카사위)

질부(姪婦)

형, 아우의 아들 딸

조카의 아내

당질

당질부

당질(堂姪)

당질부(堂姪婦)

사촌의 아들

사촌아들의 아내

종손

종손(從孫)

조카의 아들

재종손

재종손(再從孫)

육촌의 손자

 

◑시집의 호칭

호칭

특별호칭

관계

시아버님

시어머니

시부(媤父) 시아버지

시모(媤母) 시어머니

남편의 아버지

남편의 어머니

시숙

동세

동서

시숙(媤叔) 서방님

동시(同媤) 형님

동서(同胥)

남편의 형, 시아주버니

남편의 형수

남편형제의 아내

시동생

시누이

기혼은 서방님, 미혼은 도련님

시매(媤妹), 기혼손위는 형님, 손아래는 아우, 미혼은 아가씨

남편의 아우

남편의 자매, 아가씨

 

◑외가집 호칭

호칭

특별호칭

관계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외조부(外祖父)

외조모(外祖母)

어머니의 아버지

어머니의 어머니

외숙

외숙모

외숙(外叔) 외삼촌(外三寸)

외숙모(外叔母)

어머니의 남자형제

외삼촌의 부인

외사촌

외종수

외종(外從)형제

외종수(外從嫂)

외삼촌의 아들

외삼촌의 며느리

외당질

외당질부

외당질(外堂姪) 외당질여

외당질부

외사촌의 아들 딸

외사촌의 며느리

진외당숙

진외당숙(陳外堂叔)

아버지의 외사촌

 

◑고모집안의 호칭

호칭

특별호칭

관계

고모

고모부

고모(姑母)

고모부(姑母夫) 고숙(姑叔)

아버지의 여자 형제

고모의 남편

당고모

재당고모

당고모(堂姑母)

재당고모(再堂姑母)

아버지의 사촌누이

아버지의 육촌누이

내종형제

대고모

내종사촌(內從四寸)

대고모(大姑母) 왕고모

고모의 아들 딸

아버지의 고모

 

◑처가집 호칭

호칭

특별호칭

관계

장인

장모

장인(丈人) 빙장

장모(丈母) 빙모

아내의 아버지

아내의 어머니

처백부

처백모

처백부(妻伯父)

처백모(妻伯母)

아내의 큰아버지

아내의 큰어머니

처숙부

처숙모

처숙부(妻叔父)

처숙모(妻叔母)

아내의 작은아버지

아내의 작은어머니

처남

처남댁

처남(妻男)

처남댁(妻男宅)

아내의 남자 형제

처남의 부인

처조카

처조카며느리

처질(妻姪) 처조카딸


친척간의 올바른 호칭과 촌수 계보도 보기


● 친척간의 올바른 호칭


○자기에 대한 호칭
저, 제 : 웃어른이나 여러사람에게 말할 때
나 : 같은 또래나 아랫사람에게 말할 때
우리·저희 : 자기쪽을 남에게 말할 때

 

○부모에 대한 호칭
아버지, 어머니 : 자기의 부모를 직접 부르거나 남에게 말할 때
아버님, 어머님 : 남편의 부모를 직접 부르거나 남에게 말할 때
애비 에미: 부모가 자녀에게 자기를 지칭할 때
아범, 어멈또는 할아버나 할머니가 손자·손녀에게 그 부모를 말할 때
가친(家親), 자친(慈親) : 자기의 부모를 남에게 말할 때의 한문식 지칭
춘부장(椿府丈), 자당님(慈堂) : 남에게 그의 부모를 한문식으로 말할 때
부친(父親), 모친(母親) : 남에게 다른 사람의 부모를 말할 때
현고(顯考), 현비(賢妃) : 축문이나 지방에 돌아가신 부모를 쓸 때
선친(先親), 선비(先 ) : 남에게 자기의 돌아가신 부모를 말할 때
고장(先考丈), 대부인(大夫人) : 남에게 그 돌아가신 부모를 말할 때

 

○형제 자매간의 호칭
언니 : 미혼의 동생이 형을 부를 때, 또는 여동생이 여자형을 부를 때
형님 : 기혼의 동생이 형을 부를 때, 아랫 동서가 윗동서를 부를 때
형 : 집안의 어른에게 형을 말할 때
백씨(伯氏), 중씨(仲氏), 사형(舍兄) : 자기의 형을 남에게 말할 때
애, 이름, 너 : 미혼이나 10년 이상 연하인 동생을 부를 때
동생, 자네, 이름 : 기혼이나 10년 이내 연하인 동생을 부를 때
아우 : 동생의 배우자나 남에게 자기의 동생을 말할 때
아우님, 제씨 :남에게 그 동생을 말할 때
에미 : 집안의 어른에게 자녀를 둔 여동생을 말할 때
오빠 : 미혼 여동생이 남자형을 부를 때
오라버님 : 기혼 여동생이 남자형을 부를 때
오라비 : 여동생이 집안 어른에게 남자형을 말할 때
누나 : 미혼 남동생이 손위 누이를 부를 때
동생, 자네, 00아버지 : 손위 누이가 기혼인 남동생을 부를 때


○형제, 자매의 배우자 호칭
아주머니, 형수님 : 시동생이 형의 아내를 부를 때
형수씨 : 남에게 자기의 형수를 말할 때
제수씨 : 동생의 아내를 직접 부를 때
제수 : 집안 어른에게 동생의 아내를 말할 때
언니 : 시누이가 오라비의 아내를 부를 때
올케, 새댁, 자네 : 시누이가 남동생의 아내를 부를 때
댁 : 집안 어른에게 남동생의 아내를 말할 때
매부(妹夫) : 누님의 남편을 부를 때와 자매의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
자형(姉兄), 매형(妹兄) : 누님의 남편을 부를 때와 남에게 말할 때
서방, 자네 : 누이 동생의 남편을 부를 때
매제(妹弟) : 누이 동생의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
형부(兄夫) : 여동생이 여자형의 남편을 부를 때와 말할 때

 

○기타 친척간의 호칭
할아버지, 할머니 : 조부모를 직접 부르거나 말할 때
할아버님, 할머님 : 남에게 그 부모를 말할 때와 남편의 조부모를 부를 때
대부(大父), 대모(大母) : 자기의 직계 존속과 8촌이 넘는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부를 때
큰아버지, 큰어머니 : 아버지의 맏이형제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아저씨, 아주머니 : 아버지와 4촌 이상인 아버지 세대의 어른과 그 배우자를 부를 때
고모, 고모부 : 아버지의 자매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외숙, 외숙모 : 어머니의 형제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이모, 이모부 : 어머니의 자매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계촌(計寸)


)직계(直系) 계촌(計寸)

①혈연(血緣)관계에 있는 두 사람 사이의 혈연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가 촌수(寸數)이고,

촌수(寸數)를 헤아리는 것을 계촌(計寸)이라고 한다.

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의 혈연(血緣)의 구성 상태를 말할 때는

계촌(系寸)이라고 하고, 이것을 일목요연하게 도표로 나타낸 것을 계촌도(系寸圖)라고 한다.

계촌(計寸)과 계촌(系寸)은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이다.

부부(夫婦)는 혈연관계가 아니므로 0寸이다.

그러나 부부는 일심동체(一心同體)로서 무한히 가까운 0촌이다.

그렇지만 혼전(婚前)이나 이혼을 하면 남남으로서 무한히 먼 0촌이 된다.

③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간격이 1촌(寸)이다.

즉, (代)와 (代) 사이가 1촌(寸)이다.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간격은

1촌(寸)의 촌수이면서 30년의 시간을 나타내는 (=代)가 되기도 한다.

④직계로는 아무리 올라가도 1寸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즉, 아버지가 1寸인데 할아버지도 1촌이며, 10대조(代祖)도 1寸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것은 계촌(計寸)의 원리(原理)에 안 맞는 말이다.

즉, 숙부는 3촌인데,「-아버지-조부」에서 2촌(寸)이 되고,

조부와 숙부 사이는 부자간(父子間)이므로 여기에 1촌(寸)이 더 있다.

그래서 모두 합하면 3촌(寸)이 된다.

-아버지-할아버지-증조할아버지-고조할아버지는 호칭만 하고

촌수를 드러내어 말하는 법은 없다. 그러나 내재하고 있는 촌수는,

나와 고조부 사이는 4촌간이다.

⑤직계의 촌수는‘대수-1=촌수’이다. (산수 공부를 못해서 좀 어렵다.)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간격이 1촌이므로 실제 대수(代數)에서 1을 빼야 한다.

부자(父子)지간은 2대(代)인데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 있는 간격은 1이라는 것이다.

간격이 촌수이므로 부자간은 2대이면서 촌수는 1촌이다. <아래 괄호 참조>


)방계(傍系)의 계촌(計寸)

①나와 너의 조부가 같으면 2×2=4. 너와 나는 4촌 사이이다.

나-아버지-할아버지는 3대(代)이지만 간격은 2개이므로 2×2=4.

즉, ‘간격의 수×2=촌수’이다. 그래서 너와 나는 사촌간이다.

나-(1촌)-父, 父-(1촌)-祖父, 祖父-(1촌)-叔父, 叔父-(1촌)-叔父의 子.

촌수를 모두 합하면 4寸이다. 즉 너와 나는 4寸間 → 종반간(從班間)이다.

②고조부가 너와 나의 동원(同源)의 할아버지라면 4×2=8.

너와 나는 8촌간이다. ‘자기-아버지-할아버지-증조부-고조부’ 5대(代)이지만 간격은 4개이다.

촌수계산은 간격×2니까 4×2=8. 너와 나는 8촌간 즉, 삼종형제간(三從兄弟間)이다.

8촌까지를 집안 또는 당내간(堂內間)이라고 한다.

③나의 7대조와 너의 8대조가 같은 할아버지라면, 7×2=14. 14+1=15.

또는 8×2=16. 16-1=15. 나와 너는 15촌간이다. 나는 너의 족숙(族叔)이고,

너는 나의 족질(族姪)이다. 즉 너와 나는 족숙질간(族叔姪間)이다.


촌수 계보도계촌도(系寸圖)

근친간의 촌수와 갈려진 상태를 그림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종(從)은 4촌~5촌의 촌수를 뜻하지만

종(從)이란 말을 단독으로 쓰지는 않는다.

종형(從兄), 종제(從弟), 종매(從妹), 종조부(從祖父)에서 종(從)은 비로소

사촌(四寸)이란 뜻이 나타나고, 종숙(從叔) 종질(從姪)은 5촌이 된다.

재종(再從)은 6촌~7촌 를 뜻 한다.

삼종(三從)은 8촌~9촌를 뜻하고,

사종(四從)은 10촌~11촌이다.

여기서 짝수인 4촌, 6촌, 8촌, 10촌은 형제(兄弟)항렬인 동항(同行 : 같은 항렬)이 된다.

종형(從兄), 종제(從弟)는 4촌이고,

재종형(再從兄), 재종제(再從弟)는 6촌이며,

삼종형(三從兄), 삼종제(三從弟)는 8촌이며,

사종형(四從兄), 사종제(四從弟)는 10촌이다.

이 짝수에 +1촌이 증가되어 홀수가 되면 숙항(叔行 : 아재, 아저씨 항렬)이나

조카는 질항(姪行 : 조카 항렬)이 된다.

즉, 종숙(從叔)=당숙(堂叔) 과 종질(從姪) = 당질(堂姪)은 5촌이고,

재종숙(再從叔)=재당숙(再堂叔), 재종질(再從姪)=재당질(再堂姪은 7촌이며,

삼종숙(三從叔),삼종질(三從姪)은 9촌이며,

사종숙(四從叔), 사종질(四從姪)은 11촌이 된다.

조항(祖行) 빙신아 가수 조항조 가 아니고,

조항(祖行 : 할아버지 항렬)과 손항(孫行 : 손자 항렬)도 2촌, 4촌, 6촌, 8촌, 10촌의 짝수이다. 즉,

조부(祖父)와 손자는 2촌이고,

종조부와 종손(從孫)은 4촌이며,

재종조부(再從祖父)와 재종손(再從孫)은 6촌이며,

3종조부(三從祖父)와 3종손(三從孫)은 8촌이며,

4종조부(四(肆)縱祖父)와 4종손(四縱孫)은 10촌이다.

이 짝수에 +1촌을 더하면 증조(曾祖)와 증손(曾孫) 항렬이 된다.

증조(曾祖)와 증손(曾孫)은 3촌간이고,

종증조(從曾祖)와 종증손(從曾孫)은 5촌이며,

재종증조(再從曾祖)와 재종증손은 7촌이며, 삼종증조와 삼종증손은 9촌이다.

증조(曾祖)의 항렬이 홀수니까 고조(高祖) 항렬(行列)은 짝수가 된다.

즉, 고조부(高祖父)와 현손(玄孫=高孫)은 4촌이며,

종고조부(從高祖父)와 종현손(從玄孫)은 6촌이다.


그리 호칭을 할 때는 숫자를 숨겨야한다.

즉, 4촌형이라고 하지 않고 종형(從兄) 이라고 한다.

5촌 아저씨도 5촌을 숨기고 종숙(從叔)=당숙(堂叔)이라고 해야 한다.


남자☜
5촌
현조부
(玄祖父)
|
4촌
6촌
고조부
(高祖父)
종고조
(從高祖)
||
3촌
5촌7촌
증조부
(曾祖父)
종증조
(從曾祖)
재종증조
(再從曾祖)
|||
2촌
4촌6촌8촌
조부
(祖父)
종조
(從祖)
재종조
(再從祖)
3종조
(三從祖)
||||
1촌
3촌5촌7촌9촌

(父)
백숙부
(伯叔父)
종백숙부
(從伯叔父)
재종백숙부
(再從伯叔父)
3종백숙부
(三從伯叔父)
|||||
0촌

2촌4촌6촌8촌10촌

(己)
형,제
(兄,弟)
종형제
(從兄弟)
재종형제
(再從兄弟)
3종형제
(三從兄弟)
4종형제
(四從兄弟)
||||||
1촌3촌5촌7촌9촌11촌
아들
(子)

(姪)
종질
(從姪)
재종질
(再從姪)
3종질
(三從姪)
4종질
(四從姪)
|||||
2촌4촌6촌8촌10촌
손자
(孫)
종손
(從孫)
재종손
(從孫)
3종손
(三從孫)

4종손
(四從孫)


여자☜
4촌
고조
(高祖)
|
3촌
5촌
증조
(曾祖)
증대고모
(曾大姑母)
||
2촌
4촌6촌

(祖)
대고모
(大姑母)
내재종조
(內再從祖)
|||
1촌
3촌5촌7촌

(父)
고모
(姑母)
내종숙
(內從叔)
내재종숙
(內再從叔)
||||
0촌

2촌4촌6촌8촌

(己)
자매
(姉妹)
내종형제
(內從兄弟)
내재종형제
(內再從兄弟)
내3종형제
(內三從兄弟)
|||||
1촌3촌5촌7촌9촌

(女)
생질
(甥姪)
내종질
(內從姪)
내재종질
(內再從姪)
내3종질
(內三從姪)
|||||
2촌4촌6촌8촌10촌
손녀
(孫女)
이손
(離孫)
내재종손
(內再從孫)
내3종손
(內三從孫)
내4종손
(內四從孫)


외가☜

4촌
외고조
(外高祖)
|
3촌
5촌
외증조
(外曾祖)
외종증조
(外從曾祖)
||
2촌
4촌6촌
외조
(外祖)
외종조
(外從祖)
외재종조
(外再從祖)
|||
3촌
1촌
3촌5촌7촌
이모
(姨母)

(母)
외숙
(外叔)
외종숙
(外從叔)
외재종숙
(外再從叔)
|||||
4촌0촌4촌6촌8촌
이종형제
(姨從兄弟)

(己)
외종형제
(外從兄弟)
외재종형제
(外再從兄弟)
외3종형제
(外三從兄弟)
||||
5촌5촌7촌9촌
이종질
(姨從姪)
외종질
(外從姪)
외재종질
(外再從姪)
외3종질
(外三從姪)



(글)

살아 있는 사람은 자기 죄로 벌을 받나니 어찌 원망하랴(예레미아애가3:39)

한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해진 것이요 그 후에는 심판이 있으리니(히브리9:27)

저는 살면서 입으로, 마음으로, 행동으로 너무나 많은 죄를 짓습니다.

이런 죄인이 아무런 대책 없이 어느 날 죽는다면 이 많은 죄의 대가(값), 죄의 벌, 죄의 심판을 어떻게 감당할까요?

하나님은 인간이 지은 죄 때문에 이 세상에서 병들고 가난하고 저주 받고 고통당하며 살다가 죽어 지옥에 가는 것을 구원하기 위해, 자기의 아들 예수님을 이 땅에 보내 인간이 지은 죄의 형벌을 대신 받게 하여 죽이고 부활시켜, 우리를 죄에서 구원하시고 질병과 가난과 저주와 죽음에서 해방, 구원하셨습니다.

그러므로 누구나 회개하고 예수님을 믿어, 하나님의 이러한 은혜를 누리고, 사랑의 삶을 사시게 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오늘도 즐거운 날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