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내용이 틀릴 수 도 있음을 참고하시고, 이 약초(식품)의 효능은 미미하나 부작용은 매우 크니 반드시 전문 한의사와 상담 후 복용해야 합니다.
접골목은 인동과에 딸린 잎지는 떨기나무로 딱총나무, 말오줌나무라고도 부른다.
이름 그대로 부러진 뼈를 붙이는 효능이 있다고 하여 접골목이라고 부른다.
대개 산골짜기 공기 중의 습도가 높은 곳에 많다
줄기 가운데 굵고 부드러운 연한 갈색의 심이있다.
4월 하순 무렵에 가지 끝에 연한 녹색을 띤 흰 꽃들이 모여서 핀다.
열매는 8~9월에 빨갛게 익는다.
아무 때나 줄기를 잘라 그늘에서 말려 잘게 썰어서 약으로 쓴다.
접골목은 예전부터 민간요법으로 효능이 좋았던 약초이다.
부작용은 적고 효능은 확실히 있다고 한다.
접골목은 이름 그대로 부러진 뼈를 붙이는 효능이 뛰어나다.
한방에서의 멍, 즉 어혈(瘀血)을 없애고 피를 맑게 한다.
달여서 마시거나 날것으로 줄기를 짓찧어 아픈 부위에 두껍게 붙이면 통증이 없어지면서 잘 낫는다.
자연 약초 가운데서 통증을 멎게 하는 효력이 가장 빠른 것이 접골목이다.
접골목은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도 있다.
손발 삔 데, 타박상, 골절, 관절염, 신경통, 부종, 소변을 잘 못 보는 데, 통풍, 신장염, 신경쇠약, 구내염, 인후염, 산후빈혈, 황달 등의 여러 질병에 약으로 쓴다.
꽃에는 땀을 잘 나게 하는 배당체와 루틴, 정유, 탄닌질, 콜린, 점액, 유기산, 수지, 당, 삼부니그린 등의 성분이 들어 있어 이뇨, 감기 몸살에 쓴다.
달여서 차로 마시면 향기도 좋고 건강에도 보탬이 된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을 수도 있다.
<동의학 사전>에 아픔을 멈추고 소변을 잘 보게 하며 피나는 것을 멈추고 염증을 잘 낫게 한다. 타박상, 뼈가 부러진 데, 류마티스성 관절염, 배에 물이 고이는 데, 신장염, 통풍, 목안이 아픈 데, 여러 가지 출혈 등에 쓴다고 기록되어 있다.
●효능과 사용법
접골목은 골절시 힘줄과 근육과 뼈를 이어주는 효능, 손,발이 삐었을 때 부종을 줄여주고 상처난 부위의 출혈을 그치게하는 효능, 혈액순환 촉진으로 심신안정,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 기타 타박상. 관절염(류머티스관절염), 골다공증. 이뇨작용. 방광기능 활성화, 신장염. 요통. 산후통, 신경쇠약(스트레스), 무좀 예방 및 치료. 피부미용(기미,주근깨,주름살제거) 등에 효능이 있다.
접골목의 나무 안에 있는 섬유질이 잘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잔가지를 사용하는 게 좋다.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은 후 물 1리터에 접골목 10~20그램 정도를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하루 종이컵정도 양을 한~두잔 정도 복용한다
홍화씨를 소량 같이 넣고 끓이면 효과가 더욱 더 좋다
열매는 술을 담아 먹을 수 있다.
접골목 줄기와 입을 짓찧어 환부를 찜질한다.
이와 함께 줄기와 잎을 끓인 물로 목욕을 하면 효과가 더 좋다.
일본에서는 접골목을‘정원에 심는 오갈피’라고 부르며 흔히 정원에 심어 두고 필요할 때 약으로 쓴다.
●부작용
접골목은 성질이 평하지만 많이 먹으면 토하거나 이뇨와 동시에 설사를 일으킨다.
또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임산부와 유아는 복용을 금한다.
(퍼온 글)
덧글
지금 어려운 중에 있습니까, 지금 고통 중에 있습니까? 삶이 힘들고 지칠 때 하나님을 찾으십시오. 저도 고난 중에 늘 그렇게 하며 살고 있습니다.
너희는 나를 찾으라 그리하면 살리라(아모스5:4)
'食品과 藥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루쟁이의 효능과 부작용 (0) | 2018.09.11 |
---|---|
배의 효능과 부작용 (0) | 2018.07.24 |
연자육(연밥)의 효능과 부작용, 연근의 효능과 부작용 (0) | 2018.04.07 |
개복숭아의 효능과 부작용, 만성기관지염 치료 (0) | 2018.03.03 |
구기자의 효능과 부작용, 허열을 내려주는 지골피 (0) | 2018.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