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글의 내용이 틀릴 수 도 있음을 참고하시고, 이 약초(식품)의 효능은 미미하나 부작용은 매우 크니 반드시 전문 한의사와 상담 후 복용해야 합니다.
※아래 나물의 각 부작용은 기록하지 않았음을 참고하세요.
♠곰이 좋아하는 나물, 곰취
곰발바닥처럼 둥글게 생긴 곰취는웅소(熊蔬) 즉 곰이 잘 먹는 나물이라는 뜻이다.
또 곰이 살 정도로 깊은 산속에서만 자라는 나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
곰취는 베타카로틴, 비타민C가 풍부해 항산화 및 항암효과 외에도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해주고 기침과 천식치료에도 좋으며 요통이나 관절통 완화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태음인 식품이니 음허인 사람은 금하는 게 좋다.
♠생명을 잉태한 새싹, 원추리
중국 이름인 훤초(萱草)에서 변형된 원추리는 예로부터 몸에 지니면 아들을 낳는다는 속설이 있어 득남초란 별명이 붙었다. 겨우내 꽁꽁 언땅 틈새로 싹이 나는 모습이 사람인자를 거꾸로 한 것과 닮았기 때문이다. 나물로 먹는 줄기와 잎 부분은 비타민C를 풍부하게 함유해 우울증, 불면증, 신경쇠약 개선에 효과가 있다. 여기서 마음을 안정시키고 근심을 잊게 한다고 하여 망우초(忘憂草)라고 부른 이유를 짐작해볼 수 있다.
(원추리나물의 부작용)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
원추리는 성장할수록 콜히친이라는 독성물질이 많아지므로 줄기 밑 부분을 제거하고 반드시 어린 순만 채취해 충분히 데쳐 익혀 섭취해야 한다. 끓는 물에 충분히 익혀야 하며 절대 설익히면 안 된다.
완전하게 데친후 2시간 이상 찬물에 담가 독성을 제거한 후 여러 번 헹구어 물기를 꽉 짜서 무쳐먹는다
뿌리는 달여 마셔도 하루 한 번 6g정도까지만 복용해야 하며 40g 이상을 복용하면 시력저하나 소변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올 수 있다.
♠목동의 주머니, 냉이
어원학적으로 나이(那耳)의 이두식 표현이 변화한 것이라는 학설이 유력한 냉이는 유독 별명이 많다. 그중에서도 삼각형 모양의 꽃잎을 빗대어 낭낭지갑(娘娘指甲)또는 낭낭주머니라고 부른 것이 흥미롭다. 옛날 목동이 허리춤에 차고 다닌 주머니와 비슷하다 하여 영문명 역시 shepherd's purse(양치기주머니)라고 하니 시대와 지역은 달라도 떠올리는 것은 비슷한 모양이다.
냉이에는 단백질, 철분, 칼슘이 풍부하고 비타민A가 많이 들어있어 간에 싸인 독을 풀어주는 등 특히 간 기능 향상에 효과가 탁월하다.
♠기름농사가 풍년이오, 유채
제주도를 대표하는 노란 꽃 유채(油菜)는 이름 그대로 기름나물이라는 뜻이다.
바닷바람이 심하게 부는 제주도에서 참깨 농사를 짓기 어려워 기름을 구하기가 힘들었다.
이때 참깨의 대체재로 찾은 것이 바로 유채였고 태풍이 몰아치기 전에 기름을 짜기 위해 유채를 많이 심었다. 열매로 기름을 얻고 잎으로 나물을 해먹으니 기특할 수 밖에, 제주도에 유채꽃이 많은 것은 마땅한 결과다. 유채잎은 칼슘과 비타민C가 풍부해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데 효과적이다.
♠사납기로 소문난 달래
툭 쏘는 매운 맛이 일품인 달래는 정확한 어원을 알 수 없으나, 지방에 따라 달롱, 달랑개, 들마농으로 부르다가 달래로 정착되었다. 들에서 나는 작은 마늘이라 부르던 것에서 변했다는 설이 유명한데 한자로는 작은 마늘, 들마늘이란 의미의 소산(小蒜), 야산(野蒜)이라 일컫는다.
미친년 달래 캐듯 한다는 속담이 있듯이 알싸한 말만큼이나 사나운 성질을 이르기도 한다.
달래의 알리신 성분은 원기회복에 도움을 주고, 특히 철분을 많이 함유해 식욕부진이나 춘곤증 예방에 효과적이다.
♠땅에 납작 붙은 푸성귀, 봄동
봄을 가장 먼저 알리는 봄동은 잎이 땅바닥에 붙어 자라기 때문에 일부지방에서는 납작 배추, 남딱 배추, 딱갈배추 등으로도 부른다. 봄동은 특이하게 단어의 유래에 발음으로 남아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보면 봄똥이라 발음한다고 수록되었는데, 땅에 납작 붙어있는 모양이 마치 봄 들녘에 흩어진 소똥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봄동은 비타민A와 칼륨, 칼슘, 인 등이 풍부해 빈혈을 없애고 간장기능을 도와 동맥경화를 예방한다. 발음과 달리 약초와 다름없는 귀한 채소이다.
♠쑥쑥 자라라, 쑥
쑥이라는 이름은 순 우리말로, 그 유래는 조선시대 15세기 경에 작성한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에 실린 것과 민담처럼 내려오는 것으로 나뉜다. 전자는 한자 애엽(艾葉)을 쑥잎으로 번역했다는 설이며
후자는 밖으로 불룩하게 내미는 모양에서 전해졌다는 이야기다. 아무곳에서나 머리를 쑥 내밀고 자라는 모습에서 따왔다는 입말대로 흙이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 잘 자란다.
쑥의 독특한 향기인 치네올이라는 성분은 소화를 돕고 신체면역 기능을 높인다.
쑥으로 쑥쑥 클 수 있으리라.
♠숲에서 뛰노는 사슴, 두릅
나무에서 나는 두릅은 나뭇가지 끝(목두)에 잎을 오므리고 매달려 있어 목두채(木頭菜), 목말채(木末菜) 라고도 부른다. 바로 이 목두채에서 둘훕 → 두릅으로 발음이 변화했다는 설이 내려오며 나뭇가지처럼 생긴 모습이 마치 사슴뿔 같아서목두채사록두용(木頭菜似鹿頭茸)이라는 말도 있다.
두릅에 들어있는 사포닌 성분이 혈당을 내리고 혈액순환을 도와 당뇨병, 신장병, 위장병 개선에 좋을 뿐 아니라, 단백질과 비타민도 풍부하니 녹용이 부럽지 않다.
(퍼온 글)
덧글
고난 많은 인생 삶 속에서 내 사정을 하소연하고 고통을 호소하며 해결을 간청할 수 있는 대상이 있다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지요. 하나님으로부터 세상 살아갈 힘을 얻고 있으니 감사할 뿐입니다. 모두가 감사하는 삶을 사시면 좋겠습니다.
'食品과 藥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 민들레에서 배우는 덕목 (0) | 2019.07.11 |
---|---|
밤더덕(소경불알)의 효능 (0) | 2019.04.25 |
아보카도의 효능과 부작용 (0) | 2019.04.02 |
노니의 효능과 부작용 (0) | 2019.03.11 |
만삼의 효능과 부작용 (0) | 2018.10.20 |